고전 게임

삼국지6 신무장에 가족관계를 추가해 보자

Wellingbird 2017. 10. 30. 16:41


오래된 게임이지만 아직도 많은 분들이 즐기고 있는 삼국지VI.

신무장을 등록할 때 PK 기본 제공 기능보다는 상세한 파라메터까지 수정 가능한 푸른빛 님의 다기능 편집기를 보통 많이 사용합니다.


삼국지VI 다기능 편집기.exe


특히 신무장의 가족번호와 부모무장을 등록할 수 있어서 게임에서 기본 제공되는 혈연관계 설정 외에도 더 사실에 가깝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원소의 경우 아들인 원담, 원희, 원상 외에도 사촌형제(게임 데이터 상으로는 그냥 형제로 설정)인 원술과 일족인 원윤까지

모두 '가족번호 11번'으로 설정돼 있습니다.



그리고 원소와 원술의 경우 실제 게임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데이터 상의 무장인 '부모무장 1001'번의 아들로 설정돼 있습니다.

이 '부모무장'들은 역사상 실제 형제(또는 사촌형제)였던 인물들을 형제관계로 묶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형제로 묶인 무장들은 대화나 명령시 '형님' '동생'으로 호칭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무장도 이런 방법으로 기존 무장들과 형제 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역사상 18로 제후의 한 사람이자 원소, 원술의 사촌형이었던 원유(袁遺)를 등록했습니다.

조비가 쓴 전론에 나온 조조의 말 "장대하면서도 능히 학문에 부지런한 자는 나(조조)와 원백업(원유) 뿐이다"와 같은 호평을 반영해 능력치와 성향을 설정했고, 일찍 죽는 점을 감안해 수명을 2로 설정했습니다.

눈여겨 볼 부분은 원유 역시 원소, 원술과 같은 '가족번호 11', 그리고 부모무장 '1001번'으로 설정하는 점입니다.

이렇게 하면 신무장이지만 원소나 원술을 '동생'이라고 부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동오의 덕왕 엄백호를 동생 엄여와 같이 등록하고 싶다면?



이때는 기존의 부모무장 리스트에서 자리가 빠진 부분을 찾아서 넣고, 가족번호는 생존연대가 겹치지 않는 무장 중 가급적이면 성이 같은 무장,

즉 엄강, 엄정... 등의 가족 번호를 따와서 쓰면 최대한 사실에 가깝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기존 시나리오 파일을 분석해서 모은 기존 부모무장들의 리스트입니다. 번호 다음에 나오는 무장명은 그 부모무장의 자녀들입니다.


1001 - 원소, 원술            - 위의 설명처럼 사촌형 원유를 추가

1002 - 괴량, 괴월

1003 - 하후덕, 하후상

1004 - (공백)                    - 저는 여기에 엄백호 형제를 넣었습니다.

1005 - (공백)

1006 - 공손찬, 공손월, 공손범

1007 - 채모, 채훈, 채화, 채중    - 친형제와 사촌형제가 섞여 있음

1008 - 사마랑, 사마의, 사마부

1009 - 제갈근, 제갈량, 제갈균

1010 - 신평, 신비

1011 - 손견, 손정

1012 - 조인, 조순

1013 - 장로, 장위

1014 - 동탁, 동민

1015 - 마량, 마속

1016 - 미축, 미방               - 여성무장 '미부인'을 남매로 추가 가능

1017 - 맹획, 맹우

1018 - 여광, 여상               - 정사에는 형제라는 언급이 없음

1019 - 장각, 장보, 장량

1020 - 한현, 한호

1021 - 축융부인(맹획과는 부부로 설정), 대래동주(맹획의 처남)

1022 - 신탐, 신의

1023 - (공백)

1024 - 양송, 양백               - 장로 측 신무장 '양임'을 형제로 추가 가능

1025 - 어부라, 호주천

1026 - (공백)

1027 - 가비능                     - (다른 형제가 있을 듯 한데, 실제 게임 상에서는 구현 안 됨. 같은 능자 돌림인 독발수기능을 넣으면?...)

1028 - 사섭, 사일



여기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KOEI가 삼국지6의 인간관계 설정에서 빠뜨린 점도 몇 가지 있습니다.


1. 대표적인 예가 촉한의 신하 동화와 동윤이 서로 부자관계로 설정돼 있지 않다는 것이고,

2. 흉노의 선우 난제강거의 동생 난제거비는 흉노에서 등장하는 이민족 장수 '거비'로 구현돼 있지만, 강거의 아들인 어부라, 호주천보다 나이가 오히려 어린 것은 물론 (삼촌이 조카보다 어려...) 일족으로도 등록돼 있지 않다는 점입니다. 아마 거비에 대해 자세히 고증하지 못했던 모양입니다.

3. 해당 게임이 연의의 설정을 따라가기 때문에 한현과 한호가 형제관계로 설정돼 있지만, 실제로 두 사람은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얼마 전 중국 장사에서 알려진 '한의 충신 한현의 묘'에 얽힌 기록을 보면 한현에 대한 평가도 좀 상향되어야 할 듯 한데...

4. 또 정사 상에서 형제로 기록된 연주자사 유대(교모에게 죽는...)와 양주자사 유요(손책에게 쫓겨나는...) 안습 형제는 공통 부모무장이 등록돼 있지 않아서 게임 상에서는 형제가 아닙니다. 심지어 가족번호도 유대는 451, 유요는 458로 서로 다릅니다.




만약에 기존 무장의 자녀로 신무장을 추가했다면, 가급적이면 가족번호도 통일해 주는 것이 향후 후계자 선정에서 더 자연스러운 대화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방법으로 추가할 수 있는 무장의 예를 몇 명 들겠습니다.


장초 : 광릉태수이자 18로 제후의 1인. 기존 무장 장막의 동생

손분 : 예장태수. 손견의 형 손강의 아들인데... 게임상에서 손강은 부모무장으로도 설정돼 있지 않으나, 대신 동생인 손정의 아들로는 입적(?) 가능

왕숙-왕원희/왕개 : 왕랑의 아들과 손자손녀. 설명은 생략합니다. 가족번호를 통일하면 설정 가능합니다.

진지 : 촉한의 문신으로 황호를 끌어들인 장본인. 부모무장은 없지만 허정의 형의 외조카로 어릴 때 고아가 되어 허정이 양육. 허정으로 부모 설정.

대교/소교 : 손책과 주유의 처. 보통은 '교공'의 딸로 등장하므로 교현을 부모로 설정하나, 이러면 사실상 재야무장화 되어 뿔뿔이 흩어져서 엉뚱한 곳에 나오므로 부득이하게 교모나 손견의 딸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화만 : '화관색전'에 등장하는 관색의 처. 보통 포삼랑과 함께 등장하는데, 축융부인의 딸로 설정 가능. 이 경우 맹획의 딸로도 설정되는지... 잘 모르겠네요. 가족번호는 관우 계열 67번이나 축융부인 계열 425번으로 하면 됩니다.


한 가지만 더...

최후반부 무장의 경우 출생년도가 바이트상 255년으로 제한돼 있는데, 등장년도 역시 255년이 한계라서 250년대생 신무장은 아기인 상태로(...) 나오게 됩니다. 기존 무장의 경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년도를 원래 값에서 255를 뺀 값으로 설정해 놓습니다. 예를 들어 265년 등장이면 등장년도를 '10년'으로 설정하는 셈인데, 이게 신무장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265년 등장을 의도하고 서기 '10년' 등장으로 설정해 두면 184년 1번 시나리오부터 나와 버립니다...

 

철저히 고증에 바탕해 새로 추가한 신무장 100명의 데이터를 함께 올립니다. (국사무쌍 1인 포함)

받아서 보시고 적당히 가감해서 쓰시면 될 듯. 삼국지6가 들어있는 폴더에 넣되 미리 원본 파일은 백업해 두시기 바랍니다.


NBDATA.S6


NBDATA.S6
0.53MB
삼국지VI 다기능 편집기.exe
0.67MB

'고전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Dos2로 iPad에서 고전 DOS 게임 즐기기  (0) 2020.11.08